
경기도교육청은 2019년과 비교해 2020년 경기도내 학교폭력 목격, 피해 경험과 가해 경험률이 모두 낮아졌다고 21일 밝혔다.
도교육청은 이날 이러한 내용을 담은 ‘2020년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’를 발표했다.
조사 결과 학생 0.8%가 ‘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’고 응답했는데 이는 2019년 1차 조사 결과보다 0.9%p 줄어든 수치다. 또 전국 시·도교육청 평균 수치보다 낮다.
학교급별로는 ▲초등학교 1.6% ▲중학교 0.5% ▲고등학교 0.3%로 조사됐다. 2019년 1차 조사 때보다 ▲초등학교 2.0%p ▲중학교 0.4%p ▲고등학교 0.1%p 감소한 수치다.
지난해에는 특히 초등학교 학교폭력 피해 경험 응답률이 2018년 1차 결과 3.1%, 2019년 1차 결과 3.6%인 것과 비교해 큰 폭으로 낮아졌다.
가해 경험 응답률도 0.3%로 2019년 1차 조사 때보다 0.3%p 낮아졌다. 학교폭력 가해 이유는 ‘상대방이 먼저 괴롭혀서’라는 응답이 21.6%로 가장 높았다. ‘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’라는 응답도 16.5%를 차지했다.
가해 경험 학생의 89.8%가 학교폭력 가해 이후 ‘가해를 중단했다’고 답했다.
학교폭력 피해 유형을 살펴보면 ▲언어폭력 32.9% ▲집단따돌림 26.8% ▲사이버폭력 13.4% 순으로 신체 폭력보다 정서 폭력 비율이 높았다.
학교폭력 피해 장소는 학교 안이 63.0%로 가장 높았고, 그 다음으로 학교 밖이 37.0%로 나타났다. 학교 안에서는 교실 안이 31.5% 가장 높았다.

학교폭력을 목격한 뒤 신고하거나 가해 학생을 말리는 등 긍정 행동을 했다고 응답한 학생은 63.5%였다.
이 가운데 36.4%가 ‘피해를 받은 친구를 위로하고 도와줬다’고 응답했다. 19.0%는 ‘때리거나 괴롭히는 친구를 말렸다’, 14.8%는 ‘주위에 알리거나 신고했다’고 답했다.
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 14일부터 10월 23일까지 도내 초등학교 4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약 98만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. 조사에는 이 중 73%인 72만여 명이 참여했다.
학교폭력 실태조사는 1학기 전수조사, 2학기 표본조사로 1년에 두 번 하는데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전수조사 한 차례만 진행했다.
도교육청은 코로나19로 학생들의 등교 제약이 발생한 것과 함께 지난해부터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를 교육지원청으로 이관하면서 적극 현장을 지원한 데다 학교폭력 예방 교육을 강화한 게 학교 폭력을 줄이는 데 일조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.
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 14일부터 10월 23일까지 도내 초등학교 4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약 98만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. 조사에는 이 중 73%인 72만여 명이 참여했다.
학교폭력 실태조사는 1학기 전수조사, 2학기 표본조사로 1년에 두 번 실시하는데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전수조사를 1차례만 진행했다.
◎공감언론 뉴시스 pjd@newsis.com
[수원=뉴시스]
저작권자 © 바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